Table 10. Risk assessment results for Daegu Airport
대상 | 위험도 (Hazard) | 영향 (기후별 영향요소의 평균) | 기후변화 위험도 |
사업장 | 대분류 | 중/소 분류 | 구분 | 기후 영향 요소 | 발생 가능성(RCP8.5) | 영향의 내용 | 영향 | 위험도 목록 | 위험도 |
대구국제공항 | 기반 시설 | 이착륙시설 | 시설 | 폭염 | 5.00 | 활주로 도로포장 파손 | 2.83 | 폭염에 따른 활주로 도로포장 파손 | 14.15 |
관리자 | 폭염 | 5.00 |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2.80 | 폭염에 따른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14.00 |
서비스 | 폭염 | 5.00 | 대국민 서비스 중단 | 1.85 | 폭염에 따른 대국민 서비스 중단 | 9.23 |
여객 및 화물 시설 | 시설 | 폭염 | 5.00 | 냉난방설비 과부하 | 1.20 | 폭염에 따른 냉난방설비 과부하 | 6.0 |
관리자 | 폭염 | 5.00 |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1.31 | 폭염에 따른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6.56 |
서비스 | 폭염 | 5.00 | 설비 과부하에 따른 서비스 중단 | 1.32 | 설비 과부하에 따른 서비스 중단 | 6.61 |
항행 안전 시설 | 시설 | 폭염 | 5.00 | 시설물 과부하 | 1.73 | 폭염에 따른 시설물 과부하 | 8.65 |
관리자 | 폭염 | 5.00 |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1.77 | 폭염에 따른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8.83 |
서비스 | 폭염 | 5.00 | 서비스 지연 | 1.51 | 폭염에 따른 서비스 지연 | 7.57 |
통신 시설 | 시설 | 폭염 | 5.00 | 시설물 과부하 | 1.40 | 폭염에 따른 시설물 과부하 | 7.02 |
관리자 | 폭염 | 5.00 |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1.50 | 폭염에 따른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7.50 |
서비스 | 폭염 | 5.00 | 서비스 지연 | 1.53 | 폭염에 따른 서비스 지연 | 7.67 |
항공 등화 시설 | 시설 | 폭염 | 5.00 | 시설물 과부하 | 1.16 | 폭염에 따른 시설물 과부하 | 5.80 |
관리자 | 폭염 | 5.00 |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1.73 | 폭염에 따른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8.67 |
서비스 | 폭염 | 5.00 | 서비스 지연 | 1.12 | 폭염에 따른 서비스 지연 | 5.62 |
운영 시설 | 유지 관리 시설 | 시설 | 폭염 | 5.00 | 시설물 파손 | 1.92 | 폭염에 따른 시설 균열 발생 | 9.61 |
관리자 | 폭염 | 5.00 |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2.12 | 폭염에 따른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10.58 |
서비스 | 폭염 | 5.00 | 서비스 지연 | 1.41 | 폭염에 따른 서비스 지연 | 7.06 |
에너지공급 설비 | 시설 | 폭염 | 5.00 | 시설물 파손 | 1.16 | 폭염에 따른 시설 균열 발생 | 5.80 |
관리자 | 폭염 | 5.00 |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1.73 | 폭염에 따른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8.67 |
서비스 | 폭염 | 5.00 | 서비스 지연 | 1.12 | 폭염에 따른 서비스 지연 | 5.62 |
설비 | 전기 통신 기계 | 시설 | 폭염 | 5.00 | 시설물 파손 | 1.92 | 폭염에 따른 시설 균열 발생 | 9.61 |
관리자 | 폭염 | 5.00 |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2.13 | 폭염에 따른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발생 | 10.67 |
서비스 | 폭염 | 5.00 | 서비스 지연 | 1.41 | 폭염에 따른 서비스 지연 | 7.06 |
평균 | 1.65 | 평균 | 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