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착륙 단계 | 바람 (풍향과 풍속) | • 이착륙을 위한 활주로 방향을 결정하는 요소• 이착륙 접근 절차와 적용하는 기상 최저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운항 가능 여부, 이착륙 중량은 물론 공항의 항공교통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 강풍과 강한 측풍은 운항 장애를 일으키고, 정풍인 경우 이륙성능을 높이지만 배풍은 이륙중량 감소, 이착륙거리 증가 영향 |
급변풍 | • 1,600ft(500m) 이하의 저고도에서 발생하는 저층 윈드시어는 착륙을 시도하는 항공기의 속도와 자세 유지에 어려움을 유발 |
시정장애, 강수 현상 | • 안개, 낮은 구름, 비, 눈은 시정과 운고를 저하해 이착륙 제한을 일으키고, 강한 강수와 강설은 활주로 상태에 영향 |
기온, 기압 | • 이륙 및 착륙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특히 고온 또는 기압고도가 높은 공항에서는 이륙성능에 제한이 발생 |
뇌우, 강설, 태풍 | • 뇌우는 폭우, 번개, 우박, 돌풍, 윈드시어 등 다수의 위험기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이착륙이 중지되기도 하며, 강설은 시정 저하는 물론 활주로 제설에 따른 활주로 폐쇄, 항공기 제방빙에 따른 지연 등 유발• 태풍은 공항에서는 강풍에 따른 운항제한을 일으키고, 항로상에서는 태풍 중심 회피 운항에 따른 우회로 항로상 항공교통 밀집 유발 |
항로상 운항 단계 | 뇌우, 착빙, 난기류, 제트기류 | • 항로상 뇌우는 회피 비행을 하고, 착빙 예상 구역 통과 시 방빙계통이 정상적으로 작동 필요. 난기류 예측 정보를 바탕으로 항로와 고도를 계획하고 최신 정보와 변화에 대해 조종사에게 제공• 강한 편서풍인 제트기류는 배풍인 경우 최대한 활용하고, 정풍인 경우는 최대한 회피하는 항로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