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6.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 Coefficient of deterination | - | + |
상대적이점 <-> 합치성 | 0.691 | 0.665 | 0.997 |
상대적이점 <-> 복잡성 | 0.508 | 0.567 | 0.859 |
상대적이점 <-> 관찰가능성 | 0.523 | 0.581 | 0.865 |
상대적이점 <-> 사회적영향 | 0.412 | 0.540 | 0.744 |
상대적이점 <-> 인지유용성 | 0.429 | 0.537 | 0.773 |
상대적이점 <-> 인지용이성 | 0.078 | 0.111 | 0.447 |
상대적이점 <-> 태도 | 0.432 | 0.505 | 0.809 |
상대적이점 <-> 사용의도 | 0.383 | 0.473 | 0.765 |
합치성 <-> 복잡성 | 0.587 | 0.588 | 0.944 |
합치성 <-> 관찰가능성 | 0.578 | 0.588 | 0.932 |
합치성 <-> 사회적영향 | 0.413 | 0.519 | 0.767 |
합치성 <-> 인지유용성 | 0.545 | 0.590 | 0.886 |
합치성 <-> 인지용이성 | 0.084 | 0.079 | 0.499 |
합치성 <-> 태도 | 0.672 | 0.622 | 1.018 |
합치성 <-> 사용의도 | 0.664 | 0.623 | 1.007 |
복잡성 <-> 관찰가능성 | 0.604 | 0.611 | 0.943 |
복잡성 <-> 사회적영향 | 0.476 | 0.568 | 0.812 |
복잡성 <-> 인지유용성 | 0.425 | 0.518 | 0.786 |
복잡성 <-> 인지용이성 | 0.081 | 0.089 | 0.481 |
복잡성 <-> 태도 | 0.419 | 0.477 | 0.817 |
복잡성 <-> 사용의도 | 0.366 | 0.443 | 0.767 |
관찰가능성 <-> 사회적영향 | 0.640 | 0.672 | 0.928 |
관찰가능성 <-> 인지유용성 | 0.410 | 0.510 | 0.770 |
관찰가능성 <-> 인지용이성 | 0.060 | 0.054 | 0.434 |
관찰가능성 <-> 태도 | 0.416 | 0.479 | 0.811 |
관찰가능성 <-> 사용의도 | 0.384 | 0.460 | 0.780 |
사회적영향 <-> 인지유용성 | 0.366 | 0.509 | 0.701 |
사회적영향 <-> 인지용이성 | 0.025 | 0.031 | 0.287 |
사회적영향 <-> 태도 | 0.262 | 0.398 | 0.626 |
사회적영향 <-> 사용의도 | 0.213 | 0.351 | 0.571 |
인지유용성 <-> 인지용이성 | 0.195 | 0.266 | 0.618 |
인지유용성 <-> 태도 | 0.558 | 0.593 | 0.901 |
인지유용성 <-> 사용의도 | 0.504 | 0.564 | 0.856 |
인지유용성 <-> 태도 | 0.164 | 0.183 | 0.627 |
인지유용성 <-> 사용의도 | 0.138 | 0.154 | 0.590 |
태도 <-> 사용의도 | 0.824 | 0.700 | 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