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1. Statistics on incidents of breaches by type in the year 2022
구분
내용
비율
악성 코드
1. 악성코드를 통한 공격 꾸준히 발생.
2.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의 대중화로 인해 사이버 공격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짐.
3. 대표적인 RaaS 랜섬웨어는 LockBit, Conti, Blackcat 등.
39.2%
중요 정보 유출
1. 취약점을 이용한 정보탈취 후 다크웹, 블랙마켓 판매.
2. 최근 텔레그램, 디스코드와 같은 암호화 채널을 활용하여 거래하는 추세.
3. 해킹 그룹 랩서스의 국내외 대기업 기밀정보 탈취.
32.3%
피싱/스팸
1. 피싱을 통한 탈취 시도 증가.
2. 대상의 권한을 획득하거나, 가상자산을 탈취.
15.7%
시스템 장악
시스템 장악을 통한 금전 및 서비스망 마비.
11.8%
공급망 공격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