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4. KOSHA CODE H-42-2006 & flight instructors' job stressors

영역 CODE H-42-2006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비행교관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물리적 환경 작업방식의 위험성, 공기오염, 신체부담, 일반적인 물리적 환경 등 • 악기상(항공법상 비행은 가능하지만, 안개, 구름 등으로 인한 시정 불량)• 항공기 결함(항공기 정비상태 등)
직무 요구 시간적 압박, 업무량 증가, 책임감, 과도한 직무부담 등 직무에 대한 부담 정도 • 불규칙한 스케쥴 근무• 월 비행의무시간• 연속 비행시 식사 불가• 교육생의 과조작 수습 및 사고시 모든 책임
직무 자율 기술적 재량 및 자율성, 업무예측 가능성, 직무수행권한 등 직무에 대한 의사결정권한과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재량 활용성 수준 • 제한된 훈련공역• 비행스케줄로 인한 교육미흡
직무 불안정 구직 기회, 고용안정성 등 자신의 직업 또는 직무에 대한 안정성 정도 • 고용형태(계약직, 파트타임)
관계 갈등 회사 내에서의 상사 및 동료간 도움 또는 지지부족 등의 대인관계 • 상사의 부당한 지시• 동료 교관 간 비행시간 경쟁
조직 체계 조직적 정양 및 운영체계, 자원, 조직 내 갈등, 합리적 의사소통 수준 • 수직적 의사소통
보상 부적절 존중, 내적 동기, 기대 부적합 등 업무에 대하여 기대하고 있는 보상 정도와 적절성 • 비행사고시 모든 책임을 지는 것에 비해 낮은 급여
직장 문화 한국적 집단주의 문화, 비합리적인 의사소통체계, 비공식적 직장문화 등 • 출신, 배경 등에 의한 사적 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