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대학은 사회진출을 위한 전 준비과정으로서 개인의 진로에 적정한 전문적 지식습득과 인생의 가치관 형성 등이 이루어지며(Kim et al., 2015), 정서적 독립과 사회적 적응의 발달과업이 요구되는 시기이다(Lee & Yoo, 2008). 따라서, 대학교육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수업활동과 수업 시 교수와의 상호작용, 동료 학생과의 협력 연구 활동 등의 정규과정을 비롯하여 대학 내의 자발적 학생활동과 동아리 활동 등 비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Seo & Park, 2000).
특히 Chae(2008)는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측면과 더불어 사회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강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초기 성인기에 접어든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게 되면 대학생활 과정에서 새로운 사회적 관계와 구조에 노출되고, 그 과정에서 형성해 나가는 관계적 요소가 다시 대학생활에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Park & Hwang, 2015). 즉, 궁극적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학습전략이나 학습기술을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학교, 주변 사람들 그리고 학교와의 친밀함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Lee, 2006).
이와 같이 사회심리학적 측면의 학교소속감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심리적 적응,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심리적 불안을 경감시킨다는 점에서 학교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인지, 정서 및 행동적 발달 측면에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Son, 2015). 또한, 공동체에 소속되어 있다는 느낌은 학생들이 학습활동 참여에 대해 즐거움, 열정, 행복, 관심, 그리고 확신을 가능하게 하고(Shin et al., 2011), 개인이 사회적 애착을 가지며 스스로 한 집단의 일원으로 자각할 때, 주변 동료에 대한 도움행동이 증가하게 된다(Baumeister & Leary, 1995).
한편, 수업 내와의 학생과 교수의 활동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학생들이 대학에서 경험하는 주요 활동 중 하나이며, 학생의 성장과 변화와 더불어 대학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학문적․사회적 교류이다(Park & Go, 2019). 또한, 교수와 학생 상호작용의 품질과 빈도는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학습 실태를 측정하기 위한 주요 지표이며(Pascarella, 1980), 교수와 학생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관계는 학교교육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켜 학업능력의 증진을 가져오고, 학생들의 태도도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Pianta & Steinberg, 1992). 궁극적으로 대학생활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체적 유대감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학생들이 학교에 머물도록 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Tinto,1987). 따라서, 교수-학생 간의 관계에 있어서 상호작용의 역할은 대인관계 및 학업활동을 통한 학업지속에 있어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대상인 항공서비스 전공의 진로분야인 항공객실 승무원은 고객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고객만족을 실현하기 위한 심리적, 행동적 노력을 하게 된다(Lee & Han, 2014). Stamper & Masterson(2002)은 이러한 서비스 조직에 대한 소속감은 업무행위와 관련되어 회사 내 구성원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내부자로서 조직을 돕게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항공서비스학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교 소속감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주요한 요인인 동시에 예비 항공서비스인이 개발해야 하는 사회성 발달을 위한 기본적인 바탕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은 스스로가 대학의 일부라는 정서적 애착인 소속감 인식을 통해 교수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전반적인 학습, 학교활동의 가치를 증대시켜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학습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대학 생활에서 형성되는 개인적 정서와 원만한 적응을 유도하고, 진로 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여 학교소속감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학습성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생활과 직접적인 관련된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대학소속감과 학습성과 간의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안정적인 대학 생활과 환경을 제공하고, 실무에서 요구되는 사회적 인재 양성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소속감(need to belong)이란 개인이 특정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소속되어 있다는 인식임과 동시에 그 집단 내 다른 구성원들과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욕구를 포함한다(Baumeister & Leary, 1995). 이러한 집단에 대한 소속감은 참여 구성원의 행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Kim et al., 2014), 개인이 자신을 집단의 일부로 인식함으로써 속한 집단에 대한 자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Cho, 2009).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최근 연구들은 학교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공간을 넘어, 학생들의 사회심리적 발달을 지원하는 중요한 환경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학교 소속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Son, 2015). 학교 소속감은 학생들이 속한 학교 환경에서 형성되는 건강하고 보호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으로서 학교 환경에서 구성원들에게 인정과 존중을 받으며 집단의 일원으로 지지를 받는다고 느끼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Goodenow, 1992). 특히, 청소년기에 학교는 성인과의 긍정적인 유대가 형성되고, 또래 간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으로서 학교 소속감은 학생들의 정서 인지 및 행동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Shin et al., 2011).
Park(2019)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소속감과 그릿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학교소속감의 구성요소를 학교 내부 구성원들로부터 인정 받고 있다고 느끼는 학교 편안감과 학교 공동체의 일원으로 자부심과 소속감을 경험하는 학교애착감으로 구분하였다. Lee et al.(2021)은 대학생의 학교소속감, 대학생활만족도 및 학업 지속의향 간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 연구에서 학교애착, 결속감, 교수자 지지 및 교우 지지의 4개 하위 구성요소를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교소속감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Joo & Kim(2014)은 특성화 고교생을 대상으로 학교소속감, 경제적 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 성숙도 및 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교소속감은 특성화 고교생들의 진로성숙도 및 학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학교소속감을 높이기 위한 진로교육 및 동아리 등 학교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Min et al.(2021)은 COVID-19로 인해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학교 소속감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접근 동기는 학교 소속감의 하위요인인 학교 편안감 및 학교 애착감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대인 동기 양상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학생들이 교수와 학문적 논의, 수업 참여, 상담 등 학문적 교류를 경험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지 및 인간적 관계를 통해 사회적 유대를 강화하는 활동을 의미한다(Kim & Sax, 2014). 또한 학생들에게 대학 졸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대학에 대한 소속감을 강화하며, 지적 및 개인적 성장과 발달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한다(Tinto. 1993). 이러한 점에서 교수와 학생이 대학 생활 전반에 걸쳐 꾸준히 소통하며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Chin, 2020).
Choi(2016)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구성요소를 학업적 상호작용, 일반적 상호작용, 개인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였다. 학업적 상호작용은 학습과 관련된 주제를 중심으로 교수와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의미하며, 개인적 상호작용은 학습자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와 소통하는 과정을 뜻한다. 또한 일반적 상호작용은 교수의 조언을 얻기 위해 전화, 이메일, 연구실 방문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으로 설명하였다. Lee(2018)는 행동적 측면, 내용적 측면, 정서적 측면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구성요소를 분류하였으며, 교수의 수업 분위기와 같은 정서적 측면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영향을 조사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Hong & Bae(2015)는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의 대학 몰입 간의 영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영향은 대학 규모가 클수록, 그리고 사회적 평판이 낮은 대학일수록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적극적인 학습 참여와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해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과 양적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Kim(2005)은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의 성장 및 발달 사이의 영향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활발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다양한 대학 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대학생의 성장과 발달 측면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제도적 보완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학습성과는 학습자가 학습의 과정을 통해 지식, 기술, 태도 및 행동 등에서 나타나는 변화와 발전을 의미한다(Astin, 2012). 또한 학습자가 학업 과정과 그 외 다양한 교육 경험을 통해 습득해야 하는 역량으로 정의하고 있다(Pyun & Song, 2009; Park, 2010). 따라서 학습성과는 학습 이전과 비교하여 학습 경험을 통해 행동이나 사고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의미하며, 일정 기간 훈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취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Shavelson & Huang, 2003).
Choi(2015)는 학습성과의 구성요소를 학습자 만족도, 사회적 네트워크 및 전문능력으로 구분하였다. 학습자 만족도는 학습자가 학습 내용에 대해 보이는 주관적인 반응을 의미하며, 사회적 네트워크는 사회적 관계를 토대로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정보와 가치를 주고받는 인간관계의 집합으로, 전문능력은 특정 업무에 대한 문제 해결의 능력과 업무처리 능력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Doo et al.(2017)은 학습성과의 구성요소를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메타인지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과 학업 성과 사이의 영향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성과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Kang et al.(2011)은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습실재감을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으로, 학습성과를 학업 만족도 및 학업 성취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인지적 실재감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었으며, 감성적 실재감은 학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에서의 학습성과 보장을 위해서는 학습 실재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인 교수설계와 학습 촉진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Park & Go(2014)는 대학생의 근로 경험이 학생 참여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근로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근로 경험이 있는 집단은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사고 및 학습태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수행한다면 글쓰기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뿐만 아니라, 리더십과 대인관계 능력까지 발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Ⅲ.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교소속감,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성과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학교소속감과 학습성과의 영향관계에 따른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Fig.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Park & Hwang(2015)은 개인 특성과 대학특성이 대학생활을 통해 형성하는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생활 적응과 소속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수와의 교류가 활발할수록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지고, 학교와 학과에 대한 소속감도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후배 및 친구 간의 교류가 활발할수록 학교와 학과에 대한 소속감이 강화되며, 대학생활 적응 역시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im et al.(2019)은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소속감,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참여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학교 소속감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교 소속감과 학습 참여, 그리고 학습 참여와 교수-학생 상호작용 간에는 모두 긍정적인 영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교 소속감과 학습 참여 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는 대학생의 학습 참여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학교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학교 차원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소속감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간의 영향성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H1: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학교소속감은 교수-학생 상호작용 중 정서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동료의식은 정서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공동체의식은 정서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학교소속감은 교수-학생 상호작용 중 진로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동료의식은 진로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공동체의식은 진로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학교소속감은 교수-학생 상호작용 중 학업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1: 동료의식은 학업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2: 공동체의식은 학업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Choi(2015)는 음악치료 전공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학습성과의 영향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네 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 생활적, 신뢰적, 학업적 상호작용은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의 빈도와 질을 높이기 위해 교육 지원 프로그램의 강화와 다양한 교수 전략의 개발이 요구됨을 시사하고 있다. Choi & Shin(2010)은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학생들이 수업 내용, 진로 및 취업 등에 대해 교수와 논의하고, 학업 수행에 관해 적절한 피드백을 받을수록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인 분석적 사고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개인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생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교수와 학생 간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는 대학 전반의 분위기 역시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간의 영향성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Jang & Kim(2013)은 공학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제해결능력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통해 완전 매개되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며, 학습전략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수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하며, 학생들의 숙달 수준에 맞는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교수들에게 올바른 피드백 제공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Shin(2020)은 4년제 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 사이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수는 학생들과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교류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통해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교소속감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중요한 매개역할을 할 것이 예측된다.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은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문항을 토대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정 및 보완한 내용을 적용하였다. 설문지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학교소속감을 알아보기 위한 11문항을 비롯하여(Son, 2015), 교수-힉습 상호작용(정서적 상호작용, 진로적 상호작용, 학업적 상호작용)를 측정하기 위하여 19문항(Ko, 2022)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습성과를 알아보기 위한 총 7문항(Park, 2020)을 포함하여 총 37문항을 연구에 반영하였다. 설문의 척도는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상세한 측정 문항은 Table 1과 같다.
구성개념 | 측정문항 및 조작적 정의 | |
---|---|---|
학교 소속감 | 동료 의식 | 학과 내 다른 학생들과의 친밀감과 유대감을 느끼는 정도 (Son, 2015) |
공동체 의식 | 학과 구성원들과의 협력과 상호 지원을 통해 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소속감을 느끼는 정도 (Son, 2015) | |
교수-학생 상호작용 | 정서적 상호작용 | 교수와 학생이 정서적 지지와 유대감을 형성하는 형태의 상호작용 (Cokley et al., 2004) |
진로적 상호작용 | 교수와 학생이 진로와 관련된 정보 및 의견을 교류하는 형태의 상호작용(Ko, 2022) | |
학업적 상호작용 | 교수와 학생이 학업과 관련된 내용으로 정보 및 의견을 교류하는 형태의 상호작용(Ko, 2022) | |
학습성과 | 학습자가 실무실습을 통해 정보와 기술을 습득하고 자신의 역량으로 발전시키는 정도(Park, 2020) |
본 연구는 2024년 7월 10일∼7월 25일까지 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총 245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을 바탕으로 SPSS 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변수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관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Ⅳ. 실증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성별은 여성이 233명(95.1%), 남성이 12명(4.9%)으로 분포되었으며, 2년제 항공과의 특성상 남학생의 비율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은 2학년 124명(50.6%), 1학년 94명(38.4%), 3학년 23명(9.4%), 4학년 4명(1.6%)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성적은 중위권 115명(46.9%), 상위권 93명(38.0%), 하위권 37명(15.1%)으로 나타났다. 전공선택 동기는 본인이 희망한 경우 221명(86.1%), 부모님 및 주변사람의 권유 18명(7.3%),취업이 잘 될 것을 고려한 경우 12명(4.9%), 기타가 4명(1.6%)의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학과 인기도, 대중매체의 영향은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측정항목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를 위해 선행연구를 근거로 설정한 측정 문항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은 척도순화과정을 거쳐 일부 측정문항을 제거하였으며,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학교소속감의 하위요인 중 1문항(SB5)을 제거하여 최종 10문항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PS4, PS5, PS6, PS7, PS8, PS9, PS18 문항을 제거하여 10개의 측정문항을 적용하였다. 또한, 학습성과는 LO1의 문항을 제거하여 총 7문항을 반영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따라서 각 구성개념에 관한 총 27개의 문항을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요인에 관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결과는 Table 2와 같다.
본 연구의 변수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정서적 상호관계와 학업적 상호관계의 수치는 0.820으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동체 의식과 진로적 상호작용는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상관계수 값은 0.456으로 조사되었다. 상관관계검증에 관한 분석결과는 Table 3과 같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결과를 다음 Table 4와 같이 제시하였다.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교소속감의 각 하위요인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동료의식과 공동체의식 요인은 정서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내며, 가설 H1-1(β=0.372, t= 5.345, p=0.00), H1-2(β= 0.201, t=3.319, p=0.001)는 채택되었다. 회귀모형은 F값이 52.014(p=0.000)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Durbin- Watson값은 1.939로 잔차들 간의 상관관계가 없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동료의식과 공동체의식 요인이 진로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내며, 가설 H2-1(β=0.328, t=4.618, p=0.000), H2-2(β=0.248, t=3.501, p=0.001)은 채택되었다. 회귀모형은 F값이 45.312 (p=0.000)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Durbin-Watson값은 1.915로 나타나 회귀식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동료의식과 공동체의식 요인은 학업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내며, 가설 H3-1 (β=0.363, t=5.238, p=0.000), H3-2(β=0.248, t=3.589, p=0.000)는 채택되었다. 회귀모형은 F값이 53.755 (p= 0.000)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Durbin- Watson값은 1.802로 잔차들 간의 상관관계가 없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적 상호작용을 제외한 진로적 상호작용, 학업적 상호작용은 학습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가설 H3-2(β=0.225, t=2.650, p=0.009), H3-3(β=0.295, t=2.847, p=0.005)는 채택되었다. 회귀모형은 F값이 49.321(p=0.000)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Durbin-Watson값은 2.069로 나타나 회귀식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정서적 상호작용, 진로적 상호작용, 학업적 상호작용)이 학교소속감과 학습성과 간의 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방법을 이용하였다. 각 교수-학생 상호작용 간 매개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적 상호작용이 학교소속감의 하위요인과 학습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을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정서적 상호작용은 학과소속감(동료의식, 공동체의식)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Table 5).
진로적 상호작용이 학교소속감의 하위요인과 학습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을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진로적 상호작용은 학과소속감(동료의식, 공동체의식)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Table 6).
학업적 상호작용이 학교소속감의 하위요인과 학습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을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학업적 상호작용은 학과소속감(동료의식, 공동체의식)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분석되었다(Table 7).
Ⅴ. 결 론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소속감,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교 소속감과 학습성과 간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 소속감은 동료의식과 공동체의식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정서적, 진로적, 학업적 상호작용으로 세분화하여 측정하였으며, 학습성과는 실무실습을 통해 학생들이 정보와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자신의 역량으로 발전시키는 정도로 정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학교 소속감의 하위요인인 동료의식과 공동체의식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정서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동료의식과 공동체의식이 높은 학생들이 교수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교수와의 상호작용에서 정서적 지지와 유대감을 더욱 강하게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소속감이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 Baumeister & Leary(1995), Goodenow(1992)의 연구 개념과 일치한다.
둘째, 학교 소속감의 하위요인인 동료의식과 공동체의식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진로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동료의식이 높은 학생들이 학과 내 유대감을 바탕으로 교수와의 상호작용에서 진로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공동체의식이 강한 학생들은 교수와 협력하여 진로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into(1993)는 이러한 결과는 학교 소속감이 학생들의 진로 목표 설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학교소속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이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진로 목표를 보다 명확히 설정할 수 있다고 강조한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셋째, 학교 소속감의 하위요인인 동료의식과 공동체의식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학업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Kim et al.(2019)은 대학생의 학교 소속감이 교수와의 상호작용에서 학업과 관련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동료의식이 높은 학생들은 학과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자신감을 바탕으로 교수와의 상호작용에서 학업과 관련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공동체의식이 강한 학생들은 학과 구성원들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교수와 함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넷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중 진로적 상호작용과 학업적 상호작용은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와 학업에 관련된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학습 과정에서 자신감을 키워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Kim & Sax, 2014). 교수는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조언을 통해 학생들이 진로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학업성취를 위한 중요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며(Chickering & Gamson, 1989), 수업 내용에 대한 피드백과 학문적 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효율성을 높여 결과적으로 학습성과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고 설명한 내용과 부합한다(Pascarella & Terenzini, 1980).
반면에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정서적 상호작용은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정서적 상호작용이 학생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학습성과와 같은 실질적인 학업적 결과를 증진시키는 데는 제한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Goodenow, 1993). 특히, 항공서비스전공 학생들의 경우, 진로와 학업과 관련된 체계적인 지원이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학생들은 교수의 정서적인 위로와 공감뿐만 아니라, 진로와 학업에 초점을 맞춘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며, 이로 인해 학습에 더욱 깊이 몰입하게 된다는 것이다(Pascarella & Terenzini, 1980)
마지막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정서적 상호작용은 학교 소속감과 학습성과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교 소속감이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라는 매개 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학습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Kim & Sax, 2014). 특히 학교 소속감을 통해 형성된 안정감과 유대감은 교수와의 정서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 과정에서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자신감을 높여 학습 몰입과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진로적 및 학업적 상호작용이 학교 소속감과 학습성과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것은 교수와의 진로 상담이나 수업 피드백과 같은 진로 및 학업 관련 상호작용이 활성화될수록 학교 소속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Kim et al., 2019).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육환경에서 지각된 소속감은 학생들의 인지적 및 행동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이는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동기를 부여받고 긍정적인 경험을 쌓는데 필수적인 개념으로 여겨진다(Anderman, 1999). 또한, 대학 내에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 지지, 지원은 소속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Goodenow, 1993).
이에 대해 학생 개인의 소속감 결여로 인해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부재와 심리적․사회적 부적응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차원의 주요한 사회적 활동영역인 비교과 활동, 동아리 등의 학생 간 공동체 프로그램의 점검과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일률적인 기준을 설정하기보다는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향과 기획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들이 자율성을 가지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공동체 내에서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Baek(2000)은 교육은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라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교육의 결과로 나타나는 학생발달과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학습성과의 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Astin & Antonio, 2012; Pascarella & Terenzini, 2005). 특히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경우,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와 연관된 실무적 지식을 위한 학습내용에 집중하고 있으며(Son et al., 2020), 결과적으로 학업적 성취는 성공적인 취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해 교수자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은 학습성과를 높이는 데 필수적 요소이며, 교수자가 학생의 상담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때, 학생들은 학업적, 심리적, 진로적 고민에 대해서도 보다 나은 지원이 가능할 것이다. 이로 인해 학생의 전반적인 대학생활을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는 교수자 역량을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의 교수학습 시스템이 학습지도에 편중되어 있다면, 교수자를 대상으로 하여 학생지도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도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교수자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개선하고, 학생의 학습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중 공동체 의식의 지각수준을 통한 학습성과 달성의 연계성을 예측하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속성과 역할을 강조하며, 그에 따른 학습적 전이를 규명한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학생들이 대학 공동체 활동 내에서 경험하는 개인적인 지각적 귀속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소속감이라는 사회적 관계뿐만 아니라, 대학 시스템 환경에 대한 지각, 체험,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물리적 상호작용 등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다면적이고 심층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본 연구는 주로 대학 재학 기간이 2년 이하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대학 저학년과 고학년 간의 사회화 과정 및 환경 적응 차이에 대한 인식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학년별 균형 잡힌 표본 수집을 반영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한계점의 보완을 통해 대학 공동체 내에서의 소속감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